최근 대중교통 요금 결제 방식이 현금에서 교통카드로 빠르게 옮겨가고 있어요. 특히 2023년 서울시가 일부 시내버스 노선에 ‘현금 없는 버스’를 도입한 이후, 현금 없는 버스 제도가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어요.
하지만 갑작스럽게 교통카드를 두고 나온 날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은 현금없는 버스 계좌이체 하는법과 카드 없이 요금을 납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그리고 버스 현금 폐지를 시작하는 경기도 버스 시범 노선 정보도 정리해 드릴게요.
현금 없는 버스가 생긴 이유는?

‘현금 없는 버스’란 버스 내 현금 정산기를 없애고 교통카드나 모바일 결제, 계좌이체 등 디지털 방식으로 요금을 받는 제도예요. 처음에는 지불 수단이 축소되어 불편하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시행 후에는 승하차 속도가 빨라지고, 승객이 현금을 세거나 기사가 버스 현금통을 조작할 필요가 없어 안전성이 높아지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요.
🪙 현금 이용률 급감
서울특별시를 기준으로 교통카드 보급률은 이미 10년 전에 99%에 달할 정도로 높아졌어요. 현금 결제 비율이 급격하게 낮아지면서 현금 없는 버스 도입 전인 2020년 기준, 전체 버스 이용객 중 현금 결제 비율은 약 1% 미만으로 떨어졌다고 하죠.
🛡️ 안전 문제 해결
운수종사자가 운행 중 버스 현금통을 관리하다가 급정거 등으로 충격이 발생할 때 현금정산기에 부딪히는 사례도 있었어요. 또, 승객의 현금 지불이 늦어 운행 중 현금정산기를 조작하다가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위험도 있어 버스 현금 폐지는 운수종사자와 승객의 안전에도 도움이 돼요.
💸 운영 비용 절감
버스 현금통은 소모성이기 때문에, 현금정산기를 관리하고 보수하는 비용이 꾸준히 발생해요. 또 현금을 회수하고 정산하는 데도 적지 않은 인력이 필요하죠. 현금 회수와 정산, 보관에 많은 자원이 필요하다 보니 현금 수입에 비해 비용이 크게 발생하는 상황이었죠. 버스 현금 폐지 시 현금정산기의 유지관리 비용을 차량 유지 비용이나 차량 증차 등에 재투자할 수 있어 운영 비용의 효율성이 높아져요.
교통카드 없을 때 현금없는 버스 이용법

📱모바일 교통카드 앱 활용
현금없는 버스를 이용해야 하는데 교통카드를 깜빡 잊고 나왔다면, 모바일 교통카드로 간편하게 요금을 지불할 수 있어요.
※모바일이즐 앱은 안드로이드에서만 사용 가능해요.
2️⃣ 모바일 교통카드 발급 > 결제수단 등록 및 금액 충전하기
3️⃣ NFC 기능 활성화 > 모바일 교통카드 사용하기
이제 스마트폰을 버스 단말기에 태그하면 간편하게 요금을 결제할 수 있어요. 혹시 두꺼운 휴대폰 케이스를 사용하고 있다면, 잠시 휴대폰 케이스를 벗기거나 얇은 케이스로 변경하면 NFC 태그 인식률이 좋아져요.
💸 계좌이체로 요금 납부
모바일 교통카드 사용이 어렵다면 현금없는 버스 계좌이체로 요금을 낼 수 있어요. 버스 계좌이체 하는법은 버스에 비치된 안내문을 확인하거나, 기사님께 물어보면 해당 운수회사의 계좌 정보를 알 수 있어요.
현금없는 버스 계좌이체로 요금을 이체한 뒤 송금 내역을 기사님에게 확인 후 하차할 수 있답니다.
현금없는 버스 계좌이체 하는법은 간단하지만, 버스 운행 중 서서 휴대전화를 조작하는 것은 매우 위험해요. 가급적 차량이 정차했을 때나, 좌석에 착석한 뒤 계좌이체를 진행해 주세요.
일부 지역에서는 현금없는 버스 계좌이체 요금 납부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요. 만일을 대비해 계좌이체 외 다른 지불 수단을 준비해두는 것도 좋아요.
🏪 가까운 편의점에서 교통카드 구입
현금없는 버스 계좌이체나 휴대폰을 활용한 탑승이 어렵다면 가까운 편의점을 이용해 보세요. 전국 대부분의 편의점에서 24시간 교통카드를 구매할 수 있으며, 편의점에서 충전 후 바로 사용할 수 있답니다.
경기도 현금없는 버스 시범 노선

2025년 7월부터 경기도 4개 시에서 5개 노선을 대상으로 현금 없는 버스 시범 운영을 시작했어요.
지역 | 노선번호 | 특징 | 주요 경유지 |
---|---|---|---|
시흥 | 3302, 3202 | 산업단지-도심 연결 | 시흥시청, 정왕역 |
수원 | 7002 | 도심 순환 | 수원역, 인계동 |
화성 | 6012 | 외곽-중심지 연결 | 동탄역, 향남읍 |
양주 | 8300 | 신도시-구시가지 | 옥정지구, 덕정역 |
경기도 현금 없는 버스 시범 운영 노선은 시흥 3302번, 3202번, 수원 7002번, 화성 6012번, 양주 8300번으로, 시민 만족도와 운영 데이터를 분석해, 대상 노선을 확대할지 추가 검토할 계획이에요.
현금없는 버스 이용 FAQ
Q. 현금 없는 버스에서 현금을 내면 어떻게 되나요?
A. 기사님이 거스름돈을 제공할 수 없고, 받은 요금을 보관하기 어렵기 때문에 현금없는 버스 계좌이체 하는법이나 모바일 교통카드 이용을 안내받을 수 있어요. 승차 자체를 거부하지는 않지만, 탑승 시 요금 지불은 필수이기 때문에 현금 없는 버스 계좌이체나 교통카드 같은 비현금 결제수단으로 요금을 지불해 주세요.
Q. 외국인 관광객은 현금으로 탑승할 수 있나요?
A. 외국인 관광객도 교통카드 등 현금 외 결제 수단을 준비해야 해요. 외국인의 경우 현금없는 버스 계좌이체나 본인 인증이 필요한 모바일 교통카드 앱 등 다른 대체 결제수단 이용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입국 후 공항이나 편의점 등에서 미리 교통카드를 구매하는 것을 추천해요.

버스 현금통이 일상에서 점점 사라지고 있는 지금, 버스 현금 폐지는 장기적으로 승객과 운수종사자의 안전, 나아가 비용 효율화에도 큰 도움이 되는 제도예요.
이미 서울, 경기, 인천, 대구, 세종 등 여러 지역에서 버스 현금 폐지 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현금 없는 버스 제도는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커요. 현금없는 버스 계좌이체 방법과 모바일 교통카드 사용법을 미리 알아두면 만일의 상황에서도 불편을 겪지 않을 수 있겠죠?